휴모노이드 로봇 AI 산업 확산 10대 과제 발표!
AI 산업정책위원회의 역할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2월 2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AI 산업정책위원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 회의에는 안덕근 장관을 비롯해 한국공학한림원의 전·현 회장, AI 전문가들 및 관련 기업 관계자 등 130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회의의 주된 목적은 AI의 산업적 활용과 확산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위원회가 정리한 민간 제언을 바탕으로, AI 산업 활성화를 위한 Ten Key Tasks를 제시하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AI를 산업 전반에 접목시키기 위한 로드맵 제시와 함께 각 분야별 성공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계획이 강조되었습니다.
주요 과제 발표
AI 산업정책위원회에서 발표한 10대 과제는 민관합동으로 추진될 계획입니다. 이러한 과제들은 AI를 활용한 자율제조,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 데이터 활용 촉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됩니다. 특히, 자율제조 프로젝트는 올해 말 60개, 2027년까지 200개를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공정과 제품 혁신을 이루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자율적으로 작업하는 AI 에이전트와 디지털 트윈의 연계 개발 전략도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궁극적으로 AI 산업 전반의 성공 사례를 설계하고 확산하기 위한 것입니다.
- 자율제조 분야의 민관합동 선도 프로젝트 선정
-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 계획
-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설계 및 홍보
산업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
AI 인프라 구축은 산업 AI의 성장과 혁신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주요 권역별로 AI 컴퓨팅센터를 구축할 계획이 있으며, 이는 지역적인 기업 수요를 반영하여 진행됩니다. 연구 장비 및 인증 설비 등 실증 인프라도 통합하여 AI 모델이 실제 환경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을 통해 기업 간의 협업을 증진하고, 서로 다른 공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 모든 활동들은 공통의 AI 활용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산업 데이터 관리 및 활용 방안
산업 데이터 은행(Data Bank)의 도입은 민간의 자율 데이터 공유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가공하고 판매하는 데이터 큐레이션 산업도 함께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기업들은 탄소 배출량, 제조 공정 등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스페이스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기반의 접근은 AI의 효율적인 활용과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집니다.
AI 반도체 개발과 관련 산업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지원 | AI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기술 개발 | 산업 AI의 성장을 위한 인재 양성 |
AI 반도체는 높은 성능과 전력 효율을 요구합니다. 자동차 및 로봇 등의 기기에 탑재될 AI 반도체의 개발 또한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상용화 설계기술, 차세대 패키징 기술 등의 기반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AI 인재 양성을 통해 산업별 전문 지식을 가진 인력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AI 교육 강화를 통해 재직자와 예비 인재의 AI 활용 능력을 배가시키고 있습니다.
시스템적인 전력 공급 계획
AI 컴퓨팅 설비의 성장에 따른 전력 수요를 대응하기 위해 전력 공급 계획을 세우고 산업 AI에 적합한 전력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AI 데이터센터의 전용단지를 조성하고, 이러한 데이터센터가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하기 위한 액침 냉각 기술의 개발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AI 산업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에너지 효과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투자 유치 및 기업 지원
AI 산업의 발전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 촉진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산업 AI 기금을 조성하고, 기업 주도형 벤처 캐피털(CVC)을 활성화하는 등의 민간 자본 유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수요 기업에 AI 바우처를 지급하여 AI의 수요 창출을 유도하고, 해외 기술 인재와 우수 기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등 AI 생태계의 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법령 및 지원 체계 확립
AI 산업의 제도적 확산을 위해 법령 및 거버넌스 체계를 정비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 개정과 산업 AI 활용 촉진법 제정을 통해 법령 체계를 완비할 예정입니다. 기업들이 AI를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 개선 방안도 모색하여, 민관 거버넌스와 산업 AI 지원 조직이 강화될 것입니다. 이러한 법적 기반은 AI الصناعت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산업 AI의 미래 전략
회의를 주재한 안덕근 장관은 "우리 산업이 대내외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AI 기술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와 신산업 창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성공 사례의 창출이 AI 산업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산업부 내에 신설된 산업인공지능혁신과와 전문가, 기업 간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AI 시대의 산업 정책을 진화시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전략은 앞으로의 산업 전환을 위한 중요한 기틀이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