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지원사업 정부와 지자체의 3조 규모 계획!
창업지원사업 개요
정부와 지자체는 내년에 3조 3000억 원의 규모로 창업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31일 내년에 시행할 중앙부처 및 지자체 창업지원사업의 통합공고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번 통합공고에는 101개 기관의 429개 사업이 포함되며, 전체 예산은 3조 2940억 원에 달합니다. 이번 창업지원사업은 창업 기업과 예비 창업자에게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중기부는 2016년부터 창업지원사업을 통합하여 발표해오며, 이는 창업자들에게 유용한 정보 제공을 목표로 합니다.
지원사업 유형 및 예산 분포
이번 창업지원사업은 융자, 사업화, 기술개발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총 8개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지원 사업 유형별로는 융자가 1조 5552억 원으로 전체의 47.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후 사업화에 7666억 원(23.3%), 기술개발에 6292억 원(19.1%)이 배정됩니다. 특히 중기부가 2조 9499억 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지원합니다. 문체부와 과기정통부, 환경부 등 3개 부처는 각각 530억 원, 454억 원, 237억 원의 예산을 배정받았습니다.
- 중기부 지원 예산: 2조 9499억 원
- 문체부 지원 예산: 530억 원
- 과기정통부 지원 예산: 454억 원
신규 지원 사업 및 주요 분야
내년부터 통일부와 방위사업청에서도 새로운 창업지원사업을 신설합니다. 방산혁신클러스터와 북한이탈주민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이 포함됩니다. 방사청은 방산 분야의 혁신을 위한 창업경진대회를 통해 13억 원을 지원하고, 통일부는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경영개선자금 지원사업을 시행할 계획입니다. 또한, 중기부는 10대 신산업 분야의 유망 창업기업을 선택하여 지원하는 초격차 스타트업1000+ 프로젝트도 추진합니다.
기술개발을 통한 창업 성장
기술 개발을 위한 중기부의 '창업성장기술개발' 사업은 업력 7년 이하의 창업기업에 15억 원의 기술개발비 지원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1050여 개 창업기업이 최대 3년 동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공공기술 기반 창업탐색 지원사업 등을 통해 실험실 창업팀과 대학 연구자의 창업을 지원합니다. 이는 노하우와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생기는 다양한 기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예산 | 530억 원 | 지원 기업 수: 353개 |
스타트업 법률지원사업 예산 | 18억 원 | 지원 기업 수: 600개 |
글로벌 진출지원 프로그램 예산 | 25억 원 | 지원 기업 수: 85개 |
내년에는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 지원을 강화하며, 스타트업 법률지원사업을 신설해 기업이 직면하는 법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계획입니다. 중기부는 이를 통해 창업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지자체 지원 및 인프라 구축
지자체 또한 활발하게 창업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울, 경기, 경남 등 광역 지방자치단체는 총 1750억 원을 투자하여 342개의 사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기도와 광주시, 제주도 등의 지자체에서는 재도전 창업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교육, 멘토링,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해 창업 기업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역할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스타트업과 투자자 간의 네트워킹, 투자설명회 및 오픈이노베이션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런 지원을 통해 창업 기업은 필요 자원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중기부는 창업 중심의 대학을 지정하고, 약 800개 사에 사업화 자금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창업 지원 정보 확인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의 세부 내용은 K-Startup 포털 및 중기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각 부처와 지자체의 개별 공고를 통해 알림으로써 창업자에게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앞으로의 통합공고를 통한 지원 확대로 많은 사람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기술로 창업에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입니다.
결론 및 향후 전망
조경원 중기부 창업정책관은 이번 통합공고를 계기로 누구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창업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지원 프로그램은 일자리 창출과 기업 생태계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인 지원이 더욱 다양해질 것입니다. 창업 생태계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해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