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지원 청년과 장애인 위한 예산 확정!
2025년도 고용노동부 예산 집행
고용노동부는 2025년도 예산을 일·가정 양립, 노동약자 보호, 청년미래도약 등 다양한 분야에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예산 지원은 노동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고용부는 육아휴직급여를 인상하고, 노동약자 지원에 160억 원을 투입하여 일터 개선 및 불법·부당 관행을 개선할 계획입니다. 이 외에도 청년층을 위한 졸업생 특화프로그램과 대학 및 고교 재학생 맞춤형 고용 서비스도 강화할 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예산 집행은 노동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더 나은 노동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따뜻한 노동시장 구축
단순히 지원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고용부는 일·가정 양립 지원을 전반적으로 강화할 것입니다. 출산·육아 지원금이 대폭 인상되며, 다양한 근로 조건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모성보호육아지원에 4조 225억 원을 편성하여 시행할 예정이며, 대체인력 지원금도 신설하여 육아휴직에 대한 지원을 강화합니다. 출산휴가와 근로시간단축 지원 예산이 확대되면서 부모들이 더욱 안심하고 일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지원은 노동자들의 일과 가정에 대한 균형을 맞추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모성보호육아지원 금액을 1조 5256억 원으로 증가.
- 육아휴직 중 대체인력 지원금 신설 및 확대.
- 출산휴가 및 근로시간단축,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 1194억 원 책정.
노동약자 보호와 지속적 지원
특히 노동약자를 위한 정책에 있어 고용부는 ▲이음센터의 확충 및 교육 프로그램 강화 ▲임금체불 및 생계곤란에 대한 권리구제 등을 통해 노동약자 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160억 원의 재정사업을 통해 일터 개선과 권익 증진을 이루어낼 것입니다. 더불어, 대지급금은 5293억 원으로 책정되어 10만 5000명이 대상이 됩니다. 이렇게 세부적인 지원을 통해 노동약자에 대한 실질적 권리 보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일터혁신과 부당 노동관행 개선을 위한 컨설팅 역시 확대될 것입니다.
근로자 생명과 안전 보호
고용부는 산업재해 방지를 위해 5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을 지원합니다.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안전관리 예방 조치가 시행될 것.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컨설팅에는 637억 원, 사고성 재해 집중관리에 647억원 등이 투입될 계획입니다. 이와 동시에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신규 사업이 추진되며, 산재 근로자가 조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고용서비스 혁신 및 신속한 공급
고용서비스의 혁신을 위한 약속으로, 고용-복지-금융 관련 기관 통합 네트워크가 구축됩니다. AI기술을 활용한 정보 제공으로 구직자 매칭률이 높아지리라 기대합니다. 이를 위해 AI고용서비스 지원에는 75억 원이 편성됩니다. 디지털 고용 서비스 인프라 역시 확충되어 웹 기반의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변화할 것입니다.
대상별 맞춤형 지원 강화
최근 청년과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청년층에 대한 미래 투자를 위해 특화 프로그램이 신설되었으며, 각 계층에 적합한 상담 및 훈련이 마련됩니다. 예를 들어, 졸업생 특화프로그램에는 175억 원이 지원됩니다. 또한, 직무 경험 중시 채용 트렌드를 반영하여 일경험 지원을 계속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주요 사업 및 정책
중장년 계속고용 유인체계 마련 | 357억 원 지원 | 외국인 근로자 숙련 인력 양성 |
재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 | 36억 원 투입 | 중장년 내일 패키지 지원 |
장애인 고용장려금 확대 | 일자리 확대 사업 보강 | 취업 성공 패키지 강화 |
이러한 다양한 지원 사업 및 정책들은 노동 시장의 활성화와 노동자 권익 보호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정책의 시행과 맞물려 노동자들의 안정적인 삶 보장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