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응급의료 설 연휴 고위험 산모 신생아 지원!
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 개요
정부는 오는 22일부터 2월 5일까지 2주간을 '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으로 지정하며, 응급의료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여러 대책을 추진합니다. 이 기간 동안 응급의료 역량을 유지하기 위해 권역 및 거점센터의 전문의 진찰료를 250%로 인상하는 등 지원 방안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중증 환자 진료역량을 위한 23개소 거점지역센터 운영과 비상진료 기여도 평가 및 인센티브 지급 등 기존 체계의 연속성을 지킬 것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설 연휴 기간의 응급의료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자 합니다.
응급의료 역량 유지 집중 지원 방안
설 연휴 기간 동안 응급의료 체계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집중 지원 방안이 필요합니다. 비상진료체계의 장기화로 인해 의료진의 피로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의사 집단행동의 영향 속에서도 응급의료 체계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대책을 마련하였습니다. 발열클리닉과 협력병원의 연계 운영으로 응급실을 통해 진료받는 환자의 수를 조절하고, 코로나19 확진 환자에 대한 지원금 지급 등을 통해 진료 여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 발열클리닉과 호흡기질환 협력병원 운영을 통한 응급실 효율성 제고
- 응급의료기관 진찰료 추가 지원으로 대형병원 과밀화 해소
- 정확한 환자 수요 분석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응급실 과밀화 최소화 전략
응급실의 과밀화는 항상 문제가 되어 왔습니다. 정부는 발열클리닉을 115개 운영하고, 호흡기질환협력병원을 197개소로 확대하여 응급실 수요를 분산시킵니다. 환자 지원금을 통해 지역 내 의료기관들이 코로나19 확진 환자를 적극 수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입니다. 이 외에도 응급의료기관과 발열클리닉의 사전 매칭 시스템을 통해 중증 환자의 신속한 이송을 지원합니다. 특히, 인플루엔자 환자에 대해서는 일일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통계적 분석을 통해 환자 수요에 정확하게 대응할 예정입니다.
질환별 대응 계획
각 질환별로 맞춤형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응급의료체계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중앙응급의료상황실 내 산과·신생아 전담팀을 구성합니다. 이는 설 연휴 기간 중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신속히 이송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또한, 야간 및 휴일 소아 진료를 확대하기 위해 달빛어린이병원과 아동병원의 운영을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지역 심뇌혈관센터도 신규로 지정하여 중증 환자의 진료 공백을 최소화할 것입니다.
당직 진료 및 점검 강화
당직 진료와 관련하여 설 연휴 기간 동안 문을 여는 병원과 약국에 대해 진찰료와 조제료를 추가 가산함으로써 운영을 장려할 것입니다. 모든 응급의료기관에 전담관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체계를 구축합니다. 이와 함께 24시간 재난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여 신속히 대응할 시스템도 마련할 방침입니다. 지자체와 협력하여 공공의료기관 활용 방안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응급의료체계의 지속적 개선 필요성
응급의료체계는 항상 진화해야 하며, 특히 설 연휴와 같은 특정 기간 동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최근 인플루엔자 의사 환자 수가 급증함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대응이 요구됩니다. 정부는 예방접종을 적극 독려하며, 개인위생 수칙 준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응급의료체계의 개선은 단순히 시설 확대가 아니라 질 높은 진료와 환자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따라서 위기 대응 능력을 한층 강화하여 모든 국민이 안전하게 설 연휴를 보낼 수 있길 바랍니다.
일상의 응급의료 이용 활성화 방안
응급의료 체계가 원활히 작동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정부는 '이젠(E-gen)'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병의원과 약국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호흡기 환자는 발열 클리닉과 협력병원 이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도록 홍보할 예정입니다. 설 명절에 응급의료 체계를 원활히 이용하기 위해 국민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특히 의료지원에 대한 정보 공유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혼잡을 완화하고 효율적인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국민 안전을 위한 협력과 대응
정부는 각 지역의 의료기관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설 연휴 대비 응급의료 체계를 안정적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입니다. 의사 집단행동과 같은 변수에도 불구하고 의료진의 피로도를 최소화하며 응급 진료 공백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합니다. 시민들께서는 예방접종 참여와 함께 예방수칙을 준수하여 개인의 건강을 보장해 주시길 바랍니다. 정부는 타 예방 조치를 통해 모든 국민이 안전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부서 및 상담 연락처
응급의료체계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문의는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팀(044-202-1605) 또는 공공보건정책관 응급의료과(044-202-2557)로 연락 주시면 됩니다. 어떤 질문이든 친절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응급의료는 국민 모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한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로 안전한 연휴를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