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먼플레이스
제너럴리스트의 色다른 이야기

농식품부 미국 PLC 쌀 공급과잉 해결 불가

Last Updated :

쌀 가격 손실 보상 제도에 대한 이해

농산물 가격손실보상제도는 쌀 가격이 기준 가격 이하로 떨어질 때 생산자에게 차액을 보상하는 제도입니다.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이 제도가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이 제도의 소극적인 적용은 전반적인 농업 구조와 정책 설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현재 한국은 농업 구조가 대규모 농장을 기본으로 하는 미국과는 크게 다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농장당 평균 경지면적은 80ha인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0.5ha 미만 농가가 5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각국의 농업 정책은 그 여건에 맞춰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한국의 상황에서 이 제도를 그대로 도입하는 것에는 조정이 필요합니다.

농식품부의 정책 방향

농식품부는 농업인의 소득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 전환에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직불금 정책의 관점에서 쌀 소득 직불제를 폐지하고, 대신 중소농의 소득안정과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공익직불제를 도입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농가 당 직불금 수준은 두 배로 상승했습니다. 2019년 농가 평균 직불금이 109만 원에서 2020년에는 203만 원으로 증가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농업 현실을 반영한 정책으로, 규제와 지원이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과잉생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직불금 지원이 농가의 소득 안정을 도와줍니다.
  • 국가 간 농업 여건 차이는 정책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 기본적인 생산비보다 낮은 유효참조가격은 정책의 시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 농업 정책과 한국의 차이점

미국에서는 기업 농 중심의 농업 정책이 운영되고 있으며, 농가당 일정 금액의 지원이 아닌 품목별 가격과 수량 위험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존재합니다. 가격손실보상제도(PLC)는 평균 가격이 유효참조가격보다 낮은 경우, 설정된 면적의 85%에 대해 차액을 보전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이 제도의 이행 실적은 낮아, 대다수의 품목에서 유효참조가격이 생산비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런 정책이 한국 농업에 도입되는 것이 적합할지는 고민이 필요합니다.

쌀 소득 보장의 문제점

최근 5년간 쌀값이 크게 하락한 2022년에도 쌀값은 생산비의 약 146% 수준인 182천 원/80kg로 유지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이 쌀의 과잉생산을 초래할 수 있는 우려가 큽니다. 특히 양곡관리법 개정안에서 평년가격 기준으로 생산비용과 수급 상황을 고려한 가격 설정이 과잉 생산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을 추진하여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할 것입니다.

향후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

정책 발표일 진행 내용 목표
2024.12.12. 벼 재배면적 조정 고품질 쌀 산업 전환
2025년 수입보험 전면 도입 농가 소득 제고

향후 정부는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을 통해 벼 재배면적의 조정을 추진하고, 고품질 쌀 산업으로의 전환을 통해 쌀 수급 안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수입보험 체계를 전면 도입하여 한국형 소득·경영 안전망을 확충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기반을 다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의 정책이 농업인의 삶을 개선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할 것입니다.

정부의 역할과 각 주체의 연계

정부는 농업 정책의 주체로서 농업인의 소득을 안정적으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각 주체와의 연계와 협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농민 단체와 협력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래 지향적인 정책 설계가 요구됩니다. 이러한 협력이 농업의 성장을 위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농업의 미래와 지속 가능성

농업은 미래에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많은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생산자와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있는 현대에 맞춰, 농업 정책은 유연하고 전방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더불어 기술 발전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농업 정책은 단순히 생산성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결론 및 당부의 말씀

농업 정책의 성공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좌우됩니다. 지속 가능한 농업 개발을 위해서는 과거의 정책에서 배우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농민들은 물론 모든 주체와의 협력을 통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앞으로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필요에 맞는 방향으로 정책이 설계되기를 기대합니다.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과제입니다.

농식품부 미국 PLC 쌀 공급과잉 해결 불가
농식품부 미국 PLC 쌀 공급과잉 해결 불가 | 커먼플레이스 : https://commonplace.kr/3397
2025-01-08 5 2025-01-09 4 2025-01-12 1 2025-01-15 1 2025-01-16 2
인기글
제너럴리스트의 色다른 이야기
커먼플레이스 © commonplace.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